방통대 청소년교육과 2020년 2학기 인간관계론 기말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이노우 작성일 20-11-19 20:33 조회 650 댓글 0본문
※ 첨부파일: 20202기말_청소년4_인간관계론.zip
주관식 문제
- 목 차 -
1.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조해리(Johari) 창문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하고 각 영역과 관련한 인간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자기충족적 예언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것이 청소년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서술하시오.
4.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하여 기술하고 갈등의 순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즉, 갈등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경우)를 제시하시오.
5. 아리스토텔레스가 구분한 친구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기술하고 각 유형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간략하게 제시하시오.
6. 스턴버그(R. J. Sternberg)가 제시한 사랑의 구성요소와 사랑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직장 상사의 유형 중 권위형 상사와 방임형 상사에 대하여 기술하고, 직장의 발전과 화합을 위해 권위형 상사와 방임형 상사 각각에 잘 어울리는 부하직원의 유형은 무엇이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자신의 생각을 간략하게 제시하시오.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갈등의 역기능과 순기능 .hwp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hwp
3.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이론.hwp
4. 자기충족적 예언.hwp
5. 조해리의 창.hwp
6. 직장 내 상사의 유형.hwp
-아이노우 전문학습자료 내용보기 미리보기-
1.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인간관계 회피형
인간관계를 회피하려 하고 홀로 생활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회피형 사람들은 인간관계에 대한 욕구와 동기가 많지 않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① 인간관계 경시형
인간관계가 인생에 있어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즉, 인간관계 보다는 공부, 종교 활동, 예술적 작업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② 인간관계 불안형
사람들을 만나는 것조차 두렵고 불안하기 때문에 인간관계를 멀리하는 사람들이다. 인간관계 불안형은 사람을 만나고자 하는 희망은 있으며 인간관계를 무시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는 다르지만 결론적으로 사람을 회피하고 홀로 생활을 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2)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피상형이란 깊이 있거나 의미가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피상형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에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그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으나, 실제로는 본인의 속마음을 표출하면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정도로 친한 친구를 갖지 못한 사람들이다.
① 인간관계 실리형
인간관계의 주된 의미는 실질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실리형 사람들은 인간관계를 현실적인 이득만을 얻기 위한 거래관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② 인간관계 유희형
인간관계 속에서 쾌락과 행복을 얻는 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다. 최고의 가치라 생각되고, 이들은 인간관계를 재미있고 신나게 놀고 행복을 즐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에 있어 미숙형이란 인간관계 피상형이나 회피형과 달리 다른 사람과 가깝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램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접근하게 된다.
그러나 대인관계를 이루기 위한 사교적 기술이 부족하여 원활한 인간관계를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이다.
- 중략 -
☞ 더 많은 학습자료 내용보기
http://www.iknou.co.kr/ExamData/ExamData_View.asp?dataCode=29077
- 이전글 방통대 청소년교육과 2020년 2학기 심리검사및측정 기말시험 과제물(심리검사의 개념 및 필요성 등)
- 다음글 방통대 청소년교육과 2020년 2학기 청소년인권과참여 기말시험 과제물(청소년인권 관련 쟁점 설명 등)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