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경영학과 2021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기말시험 과제물(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 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이노우 작성일 21-05-20 00:36 조회 689 댓글 0

본문

※ 첨부파일: 20211기말_경영1_기초미시경제론_공통.zip 


1.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2.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의 개념을 설명하고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시오.
3.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독점기업의 생산량과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시오.
5. 노동공급곡선을 도출하시오.


- 목 차 -

1.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2.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의 개념을 설명하고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시오.

3.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독점기업의 생산량과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시오.

5. 노동공급곡선을 도출하시오.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hwp
2. 노동공급곡선 도출.hwp
3. 독점기업의 생산량과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가.hwp
4.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의 개념 설명.hwp
5.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hwp




-아이노우 전문학습자료 내용보기 미리보기-

1.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을 도출하시오.

이윤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총수입에서 생산하는 과정에 투입된 총비용을 제외해야 한다. 결국 총이윤을 극대화한다는 의미는 총수입과 총비용의 차이를 제일 크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기업에서는 새롭게 한 단위를 더 만들어서 판매한 수입과 그러한 한 단위를 더 만들기 위해 투입되는 비용을 비교해서 추가적인 수입, 즉 한계수입이 추가적인 비용, 즉 한계비용보다 많을 때는 생산을 이어가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생산을 중단한다.
기업이 재화를 생산해서 판매하는 과정에서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MR)은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1만원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한계비용(Marginal Cost:MC)이 이때 8천원이라고 가정해보자. 이윤극대화가 가장 큰 목표인 해당 기업은 이러한 재화를 생산해서 판매했을 때 2천원의 이윤이 발생하기에 생산량을 증진하고자 할 것이다. 그렇지만 재화를 더 만들어 판매한다면 기업의 생산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고 이때 만약 한계비용이 1만2천원에 이르면 판매를 통해서 오히려 2천 원의 손실이 생길 것이기에 생산량을 줄이고자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생산을 통해 기대되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이 실현된다는 뜻이다.

1) 이윤극대화 산출량

생산비용을 둘러싼 논의라는 것은 결국 어떤 수준에서 필요한 산출량 Q를 만드는 데 투입되는 전체 비용을 TC(Q)라는 비용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상품을 판매해서 기대할 수 있는 총수입(Total Revenue) 역시 산출량의 함수를 이룬다는 점에서 TR(Q)로 보일 수 있다. 이렇게 TC(Q)와 TR(Q)를 활용해서 산출량 Q와 관련되는 이윤(π)을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 그림 (i)를 통해서 개별 산출수준에서의 총수입, 그리고 총비용곡선을 팡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곡선을 사이에 두는 수직거리를 쟀을 때 개별 산출량에서의 이윤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림 (ii)을 통해서 이윤은 산출량이 Q에 수렴할 때 제일 커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중략 -



  ☞ 더 많은 학습자료 내용보기

 http://www.iknou.co.kr/ExamData/ExamData_View.asp?dataCode=30202 

 

 

TAG경영학과기말시험기초미시경제론방송대방송대중간방통대방통대중간이윤극대화중간과제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 게시물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