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형(니코마코스 윤리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이노우 작성일 17-03-20 23:45 조회 2,063 댓글 0본문
방통대자료|중간시험(과제물)|공통교양과목|동서양고전의이해 - 『방통대자료』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옮김, 길, 2011.
- 목 차 -
1. 이 책을 선택한 이유
2. 인상적인 구절들 발췌
3. 독후감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니코마스 윤리학]서평.hwp
2. [니코마스윤리학]본문발췌및감상평.hwp
3. [니코마스윤리학]제1~3권문장발췌및감상.hwp
4.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hwp
5. 니코마스 윤리학이란.hwp
6.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배경.hwp
-자료내용 미리보기-
1. 이 책을 선택한 이유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선택한 이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론은 인간이 목적 지향적인 존재라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그것이 ‘좋음’(혹은 선)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목적에도 종류가 있고, 위계가 있다. 영어 단어를 열심히 외우는 목적은 내신 성적 관리일 것이다. 하지만 내신관리의 목적은 좋은 학교 진학일 것이고, 또 좋은 학교진학의 목적은 좋은 직업, 좋은 배우자, 명예, 부 따위가 될 것이다. 이렇듯 목적에는 다른 목적을 위해 필요한 ‘도구적 목적’이 있고, 도구적 목적들의 종착점이 되는 궁극적 목적, 즉 ‘본래적 목적’이 있을 것이다. 완전하고 자족적인 목적, 인간이 지향하는 그 ‘궁극적인 좋음’(절대선)을 당대인들은 ‘행복(Eudaimonia)’라고 여겼다.(이는 현재도 마찬가지일 것이다.)이 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렇다면 행복이란 무엇인가?”좋은 연필은 쥐기 편하고 잘 써지고 심이 잘 부러지지 않는 연필이다. 그것이 연필의 좋음(선)이다. 모든 사물에는 기능이 있고 그 기능에 충실한 것이 ‘좋음’이듯 인간에게도 본질적이고 고유한 기능이 있다(직업인으로서의 기능이 아니다). 바로 이성(理性)이다. 이성의 능력을 ‘좋게’ 개발하고 ‘탁월하게’ 발휘하는 삶인 것이다.
2. 인상적인 구절들 발췌
[1] 제일원리(arch)는 사실이며, 이것이 충분히 분명하다면 왜 그런지에 대한 이유는 전혀 필요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좋은 습관을 통해 훌륭하게 자란 사람은 제일원리들을 이미 가지고 있거나 쉽게 취할 것이다(19).
- 중략 -
☞ 아이노우 : 2017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C형(니코마코스 윤리학)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