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공통교양과목 2021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질병예방행위,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이노우 작성일 21-04-06 22:40 조회 1,589 댓글 0본문
※ 첨부파일: 20211중과_교양4_생활과건강_공통.zip
1. 질병예방행위는 잠재적이거나 실제적인 질병으로부터의 위협 및 그로 인한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이 수행하는 자발적 행위를 의미한다.
1) 단계별 질병예방 행위 중 1차 예방행위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2) 현재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1차 질병예방행위를 한 가지 선택한 후, 그 예방행위의 필요성과 중요성 및 실천방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시오.
2. 심장에 혈류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허혈성 심장질환 또는 관상동맥질환이라고 한다. 대표적 허혈성 심장질환인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 및 증상을 기술하시오.
3. 치매는 증상의 중등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분류할 수 있다. 말기 치매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5가지 기술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질병예방행위
2.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3. 말기 치매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1차 예방행위의 개념.hwp
2. 말기 치매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hwp
3. 심근경색증의 상태 및 증상.hwp
4.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1차 질병예방행위1.hwp
5.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1차 질병예방행위2.hwp
6. 협심증의 상태 및 증상.hwp
7. 서론 작성시 참조.hwp
8. 결론 작성시 참조.hwp
-아이노우 전문학습자료 내용보기 미리보기-
I. 서 론
질병발생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예방행위가 이루어진다. 질병예방행위는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질병의 위협과 그로 인한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수행되는 자발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질병의 조기발견 및 진단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아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특정 질병을 조기에 색출해 내고자 시행하는 검진을 집단검진이라고 하며, 집단검진에서 실시하는 검사를 선별검사라 한다. 직장 신체검사, 공무원의 검진 등이 집단검진의 예이다. 한편 정밀한 건강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서 종합검진을 실시할 수 있다. 종합검진은 대체로 일정기간 병원에 입원하여 시행되며 전신적인 건강진단을 받게 된다. 집단검진이나 종합검진을 통해 이상소견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재확인 및 추가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질병을 확진하게 된다.
관상동맥은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다. 관상동맥 내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축적되어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면(동맥경화증) 혈관 내공이 좁아지거나 심하면 완전히 막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심근이 불충분한 혈액공급을 받아 생기는 질환을 허혈성 심장질환이라고 한다. 이들 질환은 1980년대부터 우리 나라에서 성인의 심장병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은 연령이 많을수록 높고,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이 레포트는 단계별 질병예방 행위 중 1차 예방행위,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말기 치매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해 과제지침에 따라 작성하였다.
II. 본 론
1. 질병예방행위
1) 1차 예방행위의 개념
질병예방행위는 잠재적이거나 실제적인 질병으로부터의 위협 및 그로 인한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이나 집단이 수행하는 자발적 행위를 의미한다.
1차 예방은 질병의 원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정한 질병의 발생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장 이상적인 차원의 예방이다. 그러나 미생물에 의한 전염병을 제외하고는 1차 예방이 효과적이기 힘든데, 그 이유는 만성 퇴행성 질환의 대부분이 그 1차적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아 질병의 원인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 중략 -
☞ 더 많은 학습자료 내용보기
http://www.iknou.co.kr/ExamData/ExamData_View.asp?dataCode=29838
TAG방송대, 방송대중간, 방통대, 방통대중간, 생활과건강, 심근경색증, 중간과제물, 질병예방행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협심증
- 이전글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2021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제2장 설화의 세계" 내용 요약정리)
- 다음글 방통대 공통교양과목 2021년 1학기 사회문제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건강문제)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